연혁
2001 - |
2022 | 한국교육정보화재단 (KREN : Korea Education ICT Network) 출범 |
---|---|---|
2016 | 교육전산망 국고지원 중단 | |
2015 | KT/LG U+와 계약체결(‘15.01.01 - ‘17.12.31) ※14년 대비 51% 요금 인하로 대역폭 1.81배 증가 |
|
2012 | KT/LG U+와 계약 체결('12.01.01 ~ '14.12.31) ※11년 대비 58% 요금 인하로 대역폭 2.85배 증가 |
|
2010 | IP주소 B_Class 2개 사무국에서 확보 | |
2009 | KT/DACOM과 계약체결('09.01.01 ~ '11.12.31) ※복수사업자에서 다수사업자(2~4개)로 선정방식 변경 국고지원금 감액 (56억원 → 40억원) |
|
2008 | 교육전산망협의회 규정 개정 ※운영위원 25인 → 30인으로 변경 |
|
2007 | IP주소관리준칙 개정으로 교육전산망협의회 ISP 자격 유지 | |
2006 | IPv6 주소 확보 ※IPv6/32 1,024개 확보 국외교육 선정기준 변경 ※사무국에서 인원수를 배정하고 지역실무주관대학에서 선정 및 추천 교육전산망협의회 규정 개정 ※정부회계(1.1~12.31) → 대학회계(3.1 ~ 2.28) KT/DACOM와 계약체결(‘06.1.1 ~ ’06.12.31) ※복수사업자로 선정하여 다년간 계약(‘06.1.1 ~ ’08.12.31) |
|
2005 | 교육전산망 가상 ISP 여부 논란 ※물리망을 갖고 있지 않은 원인 교육전산망 회선 신청 요건 강화 교육전산망협의회 규정 개정 ※06년부터 탈퇴한 기관은 탈퇴 후 5년 내 재가입을 할 수 없음 KT와 계약체결(‘05.1.1 ~ ’05.12.31) - KT(KORNET)에 5차 운용위탁 (경쟁입찰) ※SLA의 웹성능 기준값 조정 |
|
2004 | 교육전산망 현안 해결을 위한 TF팀 구성 부족예산(20억) 분담 방안 마련, ’01년 전환을 목표로 상용망으로 위탁운용 전환 준비착수 연회비 신설(300M 초과 시 :초과 100M당 30만원씩 증액)하여 ‘05.1.1부터 적용 국고지원금 감액(‘04년:73.7억원, ’05년:56억원)에 따른 대처방안 강구 IP주소 B_Class 1개 사무국에서 확보 IPv6 주소 확보(IPv6/32 1개 확보) IP주소 B_Class 2개 사무국에서 확보 11개 권역으로 분리 (5권역(경남/부산/울산 → 5권역(부산/울산), 11권역(경남) 사무국 고유번호증 보유 KT와 계약체결(‘04.1.1 ~ ’04.12.31) - KT(KORNET)에 4차 운용위탁(경쟁입찰) ※ SLA(Service Lebel Agreement) 반영(1차년도) |
|
2003 | 교육전산망협의회 규정 개정 ※ 사무국(서울대내 정보화 관련 기관(부서)에 두고 사무국장은 그기관의 장으로 함 ※ 2년이상 연회비 미납 : 가입을 제한(미납 연회비 일괄 납부 시 가입허용) 위탁사업자 유?무상부가 서비스 실시(1차년도) 03년 연구개발 과제 추진(1차년도) IP주소 B_Class 2개 사무국에서 확보 43개 기관 AS 번호 지원 자문위원 위촉(‘03.3. ~ ’03.12.(10개월) DACOM과 계약체결(‘03.1.1 ~ ’03.12.31) - 데이콤(DACOM)에 3차 운용위탁(경쟁입찰) |
|
2002 | 교육전산망협의회 규정 개정 ※ 지약센터장 기능 폐지 차기운영위원 선정(임기:2년) KREN IP 주소(현 교육망 회원기관에 대한 IP 주소 활용) 합의서작성 통신망 성능측정 연구(강원대, 충북대, 전남대 : ‘02.3.1 ~ ’02.8.31) 9KT와 계약체결(‘01.2.1 ~ ’02.12.31) KT (KORNET)에 2차 운용위탁 |
|
2001 | 교육전산망협의회 규정 개정 ※ 운영위원 22인 이내, 사무국장을 보좌하는 위원이 간사위원 운영 위원 중 감사위원 1명 위촉 교육전산망 관련 감사원 감사 한국통신과 계약체결(‘01.1.1 ~ ’01.12.31) |
1991 - 2000 |
2000 | 망 전환을 위한 교육전산망 임시운영위원회 구성(센터대학 중심) 교육전산망<->KIX-NCA 간 155Mbps로 증속 부족예산(20억) 분담 방안 마련, ’01년 전환을 목표로 상용망으로 위탁운용 전환 준비착수 - 대학을 중심으로 한 비용분담방안 마련 - 초중고는 할인협약 조건하에 국가망으로 전환 |
---|---|---|
1999 | 통신회선 이용 절감 노력(10개 지역센터에 캐쉬서버 설치), ’00년 예산 전년대비 감소, 24시간 서비스 체제요구 증가 | |
1998 | Dacom-KIX(T3) 개통 추진 나우콤(E1*1) 증설 유니텔(E1*2) 개통 KT-KIX(T3) 개통 나우콤(E1*2) 개통 교육전산망 근간망 증속(1.5Mbps ->45Mbps) 교육전산망<->HiTEL 2Mbps 직통 연결 |
|
1997 | 국제회선(서울-미국 스탁톤) T3(45Mbps) 급으로 증속 국제회선(서울-미국 스탁톤) T2(6Mbps) 회선으로 증속 - 초중고등학교,각 시도 교육청 도메인 등록(ed도메인 사용)업무. - 한국전산원으로부터 이관 및 ed도메인 서비스 개시 - 한글검색 RWhois검색서비스개시 열린학교 시범사업망 구축 완료 초중고에 도메인 서비스 개시(가입기관 폭증) |
|
1996 | 한글검색 RWhois서버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완료 서울대-한국전산원 T3회선으로 증속 교육전산망 근간망 T1 증속완료 국제회선(서울-미국 스탁톤)을 2개의 T1회선(3Mbps)으로 증속 - 국내 교육기관의 인터넷 주소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완료 BITNet-Internet(시범망) 종료, 일본회선 단절 서울대-한국전산원 T1회선 개통 초중고 인터넷 주소체계 연구 |
|
1995 | 교육전산망 근간망 256Kbps속도로 증속,제2국제회선(미국 sprint) 256Kbps 개통 9개 지역센터 교육전산망 본부로 직접 연결 - 충북,전북,경북,경상,제주 지역 서울대로 직접 연결 서울대 - 한국통신 구간 T1 속도로 증속 교육정보화 종합추진계획 수립(16개 교육청을 교육전산망에연결) |
|
1994 | 교육전산망 근간망 DACOM사에서 한국통신(KT) 으로 회선 이전 | |
1993 | BITNet-Internet(시범망) 게이트웨이 구축 및 지역센터에 전용장비인 라우터를 도입토록 지원하여 지역가입자 증가 수용 | |
1992 | 교육전산시범망에 인터넷 시험개통 및 서비스(한국통신,56Kbps, 지역센터 1곳 추가) | |
1991 | 교육전산시범망 구축 -전담사업기관(서울대학교) 및 8개 지역센터 |
1982 - 1990 |
1982 - 1990 | BITNet 구축(서울대, 20여개 수도권 대학 중심) 교육전산시범망 구축 계획 수립(9개 국립대학) 교육전산망과 연구전산망 분리안 확정(전산망조정위원회) - 교육전산망 : 문교부(전담기관 : 서울대) - 연구전산망 : 과기부(전담기관 : 시스템공학연구소) 교육전산망구축 기본계획 연구(문교부) 연구망 중심 교육연구전산망 기본계획(시스템공학연구소) 교육연구전산망추진위원회 구성(과기부) 및 교육연구전산망 기획단 구성 (문교부 산하) 전산망조정위원회(청와대) 발족 및 1차 위원회 개최 (총괄 : 과기처, 전담사업자 : 시스템공학센터) 교육연구전산망위원회 구성 추진 - 국공립대학과 정부출연연구소 중심으로 구성,운영 5대 국가기간전산망 기본방침 확정 - 행정망, 금융망, 교육연구망, 국방망, 보안망 |
---|